티스토리 뷰

[2021년 1월에 올렸던 나의 인사이트를 다시 공유해보려고 한다. 나는 이렇게 생각했고 실제로 100% 이상의 수익을 냈다. 주식의 접근 방식에서 많은 분들이 이런 생각으로 접근하는 사람도 있구나 하면서 얻을 것이 있다면 얻어가셨으면 한다.]
 

아래 글은 2021년 1월 19일에 다른 블로그에 기재했던 글을 다시 올린다. 

최근 이재명 경기도 지사의 지지율이 대선 후보들 중 1위를 차지하면서 소위 말하는 이재명 관련주들이 급등했다.

이재명 관련주의 전통적인 대장주는 에이텍티앤과 에이텍이었다. 최근에서는 동신건설,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이 3종목이 급등을 보이고 있다.

정치테마주의 특성상 어느 특정 후보의 지지율이 높아지게 되면 원래는 관련 없었던 관련주들이 생겨나고 어떤 이유를 들어서 특정 정치인의 관련주, 테마주로 만들어낸다. "만들어낸다"는 표현이 적합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대장주는 쉽게 변하지 않는다. 주식 시장에서는 많은 변수들이 존재하는데 소위 말해서 대장주라는 것들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어느정도 합의점을 찾은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주식 시장에서의 심리에 대해서는 다음에 출간할 책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자.

1. 에이텍티앤

에이텍티앤은 2015년 주식회사 에이텍의 교통카드 솔루션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해 설립되었으며, 교통카드 솔루션 개발·제조 및 기타 무선 통신 장비의 개발·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본점 소재지가 성남에 위치하고 있다.

현재 이재명 관련주 에이텍티앤의 시총은 1,355억원 정도이며, 기업 실적 대비 그리고 이재명 관련 대장주임을 감안한다면 결코 고평가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크게 상승할 여력 또한 없어서 더 먹을 구간이 그리 많아 보이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에이텍티앤의 매출 구성이 금융 자동화 81.27%, 교통카드 솔루션 18.73% 등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등이 정부 정책과 맞닿아있는 점 등을 고려해봤을 때 파이가 완전히 커질 수도 있어보인다. 에이텍티앤의 주 납품처가 현재는 경기도에 국한되지만 혹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대권을 잡게 되면 거래처가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어보인다.

현재 실적 또한 나쁘지 않으며 재무도 건전해 보인다.

2. 에이텍

이재명 관련주 에이텍은 LCD 디스플레이 응용제품을 제조, 생산 판매한다. 에이텍은 녹색기술인증을 받은 절전형 PC 및 LED 모니터, 굿디자인 수상 슬림형 PC, 금융모니터 및 엘리베이터 DID 등을 개발한 기술력 및 노하우를 보유하고 PC 및 모니터를 공공기관에 주로 납품하고 있다. 전체 공공기관용 PC 및 모니터 조달시장에서 market share를 20% 상회하는 정도로 점유 중이다. 이재명 관련주 에이텍 또한 에이텍티앤과 마찬가지로 본점 소재지가 성남에 위치하고 있어 이재명 관련주로 분류된다. 이재명 관련주 에이텍티앤과 같은 건물에 있으며, 전화번호만 다르다.

현재 이재명 관련주 에이텍의 시총은 2,879억원 정도이며, 공공기관용 pc 및 모니터 사업에서 market share를 20% 상회해서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업성도 좋아보인다. 하지만 에이텍티앤에 비해 한가지 아쉬워보이는 점은 이재명 관련주 에이텍의 사업 자체가 파이 자체를 키울 수 있는 시장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공공기관 자체가 더 많아지지는 않을 거니깐. 개인적으로 인적분할 이후 에이텍티앤에 더 주목하게 된 것도 그 점이다.

에이텍 또한 실적, 재무 모두 좋고 건전하다.

3. 그 외 (동신건설, 오리엔트정공, 오리엔트바이오)

나머지를 그 외로 나눈 것은 대장주와 그 외로 나눈 것도 있고, 사실상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 재무구조를 가진 애들이라 그 외로 나누었다.

여러 기법과 다양한 방식의 투자를 하고 있지만 이런 형식의 추세 매매는 내가 잘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라 이후 전문가를 초빙해 추가 포스팅으로 추세 매매, 단기 급등주 포착하는 법에 대해서도 한 번 올려보도록 하겠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이미 합의된 대장주들이 다시 오를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투자를 권유하거나 테마주, 관련주에 뇌동매매하라는 것이 아니라 가치투자를 할 때에도 어느 정도 심리를 반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서이다.

모두들 부자되는 그 날을 꿈꾸면서 글을 마친다.

 

반응형